코호트지표
코호트분석(=동질집단분석)의 코호트란 특정 기간동안 동일한 경험이나 특성을 갖는 사용자 집단으로 날짜에 기반한 사용자 세그먼트입니다. 특정 날짜 내의 공통된 연령/성별, 지역, 트래픽소스, 방문페이지, 제품 등의 측정기준을 통해서 사용자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코호트분석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용자 유지 및 이탈패턴으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방문자 > App설치(First open) = 트리거(SDK) 발동(추적) = 행동 데이터 축적
10/1 신규 유저 유입 이후 리텐션율(재유입)을 살펴보겠습니다.
10/1 App First open 100건
10/2 D+1 50건 Retention (50%)
10/3 D+2 20건 Retention (20%)
10/4 D+3
10/5 D+4
10/6 D+5
10/7 D+6
10/8 D+7 3건 Retention (3%) => 총 D+7 =RU(리텐션유저,잔존유저) 발생한 날짜(10/1) 기준
10/1 10/2 10/3 10/4~7 10/8
100 App First open > Retention 50% >Retention 20% > ..................... > Retention 3%
20건 14건 11건,5건,3건 1건 => 총 54건
(구독료5,000원) 100,000원 70,000원 95,000원 5,000원 => 총 27만원
(CPI 10,000원)
광고비는? CPI x 10/1기준 신규설치 건(App First open) = 10,000원 x 100건 = 1,000,000원
[코호트지표 = 누적으로 계산]
10/2 ROAS는? 10/1 (D+1)ROAS = 10%
10/3 ROAS는? 10/1 (D+2)ROAS = 17%
10/8 ROAS는? 10/1 (D+7)ROAS = 27%
즉, 10월 1일로 보는 10월 8일의 ROAS는? 27% 이다.
*ROAS랑 Retention은 무조건 코호트지표로 봐야한다.
[딜리버리 지표]
10/2 100명 10만원 회원90명 구매2건 => 90% 딜리버리 2%
'퍼포먼스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앱 어트리뷰션은 무엇인가? (0) | 2022.02.04 |
---|---|
마케팅 용어의 이해 (0) | 2022.02.03 |
마케팅 지표의 이해 (0) | 2022.02.03 |
퍼포먼스마케팅 앱광고 기본 용어 [CPM/CPC/CPI/PCA(CPE)/ROAS/CTR/CVR] (0) | 2022.02.03 |
퍼포먼스마케팅 에코시스템 (0) | 2022.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