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용어의 이해
캠페인
특정한 광고 목표(KPI)를 달성하기 위해 일정 기간 행하는 모든 광고 활동
랜딩페이지
광고를 클릭 후 이용자가 도착하게 되는 페이지
콘텐츠 ⭐
이미지 혹은 영상형태로 소비자에게 시각&청각적으로 보여지는 소재 소구점에 따라 어떤 형식으로 콘텐츠를 만들것인가가 정해진다.
KPI ⭐⭐
Key Performance Indicator로 핵심성과지표의 뜻으로, 광고캠페인에서 성취하려고 하는 지표 광고캠페인의 '광고 목표'에 해당한다.
A/B테스트 ⭐
1개의 변수를 설정하여 2가지의 광고캠페인 비교 성과측정을 기대하는 일 예를들어, A캠페인 : 대학생 20대 + 남성 + A콘텐츠 / B캠페인 : 대학생 20대 + 여성 + A콘텐츠 (광고지면 + 광고24시간 동일) 시, 성별이 소구점이 된다. 변수 기본 기준 3가지 : 타겟팅, 콘텐츠, 랜딩페이지 [+a 광고지면, CTA버튼문구 등]
타겟팅 ⭐
세분화 된 소비자&지면 분류에서 특정 잠재고객 혹은 특정지면에 광고를 송출시키기 위한 설정하며, 광고를 더 높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소비자에게 노출하기 위해서 하는 행동들 (예: 특정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에게만 노출, 특정 행동을 한 사람에게만 노출)이다. 과거 mass media(TV,라디오)에서는 불특정 다수에 광고를 뿌렸으나(최대화) 현재에는 광고비용 최적화에 초점을 맞춘 타겟팅 광고를 한다.
지면타겟팅(Media Buying) "광고를 보여 줄 지면을 산다"
📌 애완견에 관심있는 사람 (User)
[광고게재위치] ⇒ 유튜브
- 리트리버 분양받는방법 영상을 보는 사람에게 영상콘텐츠를 소비하기 이전에 유튜브광고를 보여주는 것.
- 영상 띠베너 광고 송출
유저타겟팅(Audience Buying) "광고를 보여 줄 사람을 산다"
📌 애완견에 관심있는 사람 (User)
[잠재고객] 애완견애호가, 동물애호가
[인구통계] 남성제외 </aside>
리타겟팅 ⭐
내가 소유한 Data소스(ex. Pixel, e-mail DB)에게 다시 타겟팅 광고로 송출시키는 일 Facebook Pixel Helper, 스크립트 등 비식별데이터를 수집하여 리타겟팅
Paid-Ad
광고매체사에 비용을 지불하고 광고지면&일정을 구매하여 송출시키는 광고 (=Paid media)
Non-Paid-Ad
광고매체사가 아닌, 개인 혹은 기업과 제휴를 통해 송출시키는 광고(ex. Blog포스팅, PPL)
태그
트래킹을 위해 주요 페이지 및 이벤트 페이지에 HTML소스 내에 삽입한 처리 Java Script 명령어 (상품에 대한 정보 정의 : 상품가격, 상품ID, 상품색상 등 이름표) = 비식별 데이터를 태깅해서 데이터를 수집한다.
포지셔닝
타겟팅 된 고객에게 경쟁사와 대비하여 자사의 경쟁 우위 요소를(차별점) 인식시키는 모든 활동
참여(Engagement)
자사브랜드와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모든 활동 (ex. 좋아요, 댓글, 회원가입, 카카오톡채널추가 등)
크리에이티브
광고 소재라고도 불리기도 하고, 시청자가 시청하는 이미지/비디오/사운드를 뜻함
덕션
프로덕션의 약자로써, 크리에이티브 제작사를 말함
에셋/소재
크리에이티브 자체를 말하는 경우도 있고, 크리에이티브 제작을 위해 사용되는 요소들 (상품 이미지, 로고, 등)을 말하기도 함.
CTA (Call to action)
영상 광고가 끝날때 특정 행동을 유발하는 문구/장면 혹은 이미지 광고에 특정 행동을 유도하는 텍스트
(ex. 지금 다운로드하세요)
CRM(Customer Relation Management)
고객 관계 관리를 의미합니다. 고객을 만들고 장기간 유지하고자 할 때 필요한 경영전략으로 참여활동을 주로 다룹니다.(ex.카카오톡채널 친구추가)
Programmatic Ad System ⭐⭐⭐
프로그램이 자동적으로 이용자의 검색 경로, 검색어 등 빅데이터를 분석해 이용자가 필요로하는 광고를 띄어주는 광고기법(페이스북, 인스타, 구글, 네이버, 카카오 등 매체 ⇒ 셀프세팅 'RTB' 가능)
📌 SSP(Suppy-side platform) 시청자가 광고를 시청하는 매개체로 광고 지면을 공급하는 측 (매체) ex. 페이스북, 지하철 노선 앱, 카카오톡
📌 DSP(Demand Side Platform) 광고주 입장에서 최적화 된 광고 인벤토리를 구매하도록 도와주는 서비스 광고 지면을 수요(구매)하는 측 (기업⇒광고주)
📌 RTB(Real Time Buying) = 경매형 광고를 구매할 때 사전에 만든 알고리즘에 따라 디지털을 통해 자동으로 구매하는 것으로, 이런 구매 과정은 실시간입찰로 이루어지며, 자동화된 프로세서를 따른다.
광고 인벤토리 구매 시 다른 광고주들과 실시간 입찰 경매하는 방식(페이스북, 트위터, GDN 등)
(대비) 고정입찰가액? 네이버 홈페이지 메인 고정 배너 : 예약을해서 특정 시간에 광고를 집행하겠다고 고정금액을 지불하고 광고하는 경우
DMP(Data Management Platform)
타겟광고 구현을 위해 매체사들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 관리 플랫폼으로 다양한 데이터를(인구통계, 관심사, 행동학 특징 등)저장&가공하여 광고주에게 제공
퍼널분석(Funnel Analysis)
단계별 분석, 깔때기 분석이라고도 하며, 유저가 유입되고 전환에 이르기까지 각 지표를 분석하는 일 (AARRR)
랩사
매체사의 지면을 대신 판매하고 관리하는 기업
B2B
기업 대 기업 간 전자상거래
B2C
기업 대 소비자간 전자상거래 (ex. 인터넷 쇼핑몰)
B2G
기업 대 정부 간 전자상거래
C2C
소비자 대 소비자 간 전자상거래 (ex. 인플루언서 셀러, 중고거래 등)
C&C2B
다수의 소비자 대 기업 간 전자상거래 (ex. 공동구매 등)
'퍼포먼스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앱 어트리뷰션은 무엇인가? (0) | 2022.02.04 |
---|---|
마케팅 지표의 이해 (0) | 2022.02.03 |
[Retention & ROAS 계산법 = 코호트지표] (0) | 2022.02.03 |
퍼포먼스마케팅 앱광고 기본 용어 [CPM/CPC/CPI/PCA(CPE)/ROAS/CTR/CVR] (0) | 2022.02.03 |
퍼포먼스마케팅 에코시스템 (0) | 2022.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