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퍼포먼스마케팅

마케팅 지표의 이해

반응형

마케팅 지표의 이해

광고성과를 측정&개선시키 위해 광고지표에 대한 이해 및 해석이 중요하다.
퍼포먼스마케팅 | 한정적인 예산안에서 최적의 성과를 도출시키는 모든 과정

 

ROAS(Return On Ads Spending)(광고 대비 매출액)

투자한 광고비 대비 광고주가 회수한 매출액의 비율 (매출액/광고비*100%)
📝 마우스 1개
소비자가 30,000원 광고비 10,000원 소진 >>> 1개 판매 : 30,000원 매출 발생
[(공급가액 10,000원 + 유통/보관비 5,000원)고정지출 + 영업이익 15,000원]
마케팅에서는 ROI말고, ROAS기준으로 성과파악을 한다. 
영업이익 15,000원 이하 변동비용 사용으로 1개를 판매해야 순이익이 발생한다.
마우스 1개를 판매할 시 매출 30,000원이 발생하는데 영업이익이 15,000원이라 광고비용을 최대 15,000원까지 써서 하나를 판매시키면 손익분기점이고, 10,000원에 1개를 판매시키면 순이익 5,000원이 발생, 5,000원에 1개를 판매시키면 순이익 10,000원이 발생한다.
즉, CPS가 15,000원이 넘어가면 손익분기점이 떨어진다.(손해)
📝 일반 유통기업 손익분기점 기준 200~300% 이상이어야 손익분기점을 넘었다고 판단

ROI(Return of Investment)(투자수익률)

투자한 전체비용 대비 광고주가 회수한 순이익의 비율(생산비 등 기타 비용 제외한 수익) (순이익/광고비*100%)
비즈니스로 이익을 창출해야 하는 광고주의 경우 ROAS 보다 ROI를 확인하여 이익창출이 잘 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CPC(Cost Per Click)

1번의 클릭당 과금되는 비용을 말하며 대표적으로 키워드광고가 있다.

CPM(Cost Per Mille)

1,000번의 노출당 과금되는 비용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광고가 있다.
(fb,insta 기준 5,000원 내외)

CPS(Cost Per Sale)

한건의 판매를 일으키는데 발생하는 광고비용으로 공식적으로는 없는 과금방식이다.
제휴마케팅 활동을 할 때 사용하기도 한다.

CPA(Cost Per Action/Acquisition)

한 번의 액션(획득)을 일으키는데 발생하는 광고비용으로 회원가입, 결제시작 전환행동을 했을 때 과금된다. 광고시스템에서 전환행동을 보장해서 과금하는 방식을 잘 사용하지 않지만 머신러닝시스템을 통해 구글에서는 활용한다.
ex.) 회원가입이 캠페인의 KPI 라면 해당 캠페인의 CPA는 '회원가입 당 비용'이다.

CPV(Cost Per View)

조회를 일으키는데 발생하는 광고비용으로 영상광고에서 많이 사용되는 과금방식이다. 영상의 러닝타임에 따라 조회기준이 달라진다. (1회 조회 당 평균 20~30원)

CPI(Cost Per Installment)

한 번의 앱설치를 일으키는데 발생하는 광고비용이다.

CPT(Cost per Time)

1주일 및 1개월 노출 당 일정 금액을 과금하며, 기간제/시간제로 운영되는 광고를 말합니다. 특히 광고 인벤토리를 구매하여 집행하는 광고방법으로 주로 1주일 단위 및 1개월 단위로 진행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카카오톡 광고의 #검색플레, 다음의 쇼핑, 로컬광고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CPE(Cost per Engagement)

1번의 참여 당 광고비용을 의미하며, 사용자가 SNS나 메인 홈페이지 등에서 광고를 보고 해당 내용을 자신의 계정에 리트윗하거나 블로그에 공유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CPL(Cost per Lead)

고객 정보 수집 당 비용으로 고객이 뉴스레터를 구독하기 위해 이메일을 기입하거나 테스트 제품을 받아보기 위해 주소정보를 입력하는 것, 그리고 설문조사를 하는 것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CAC(Customer Acquisition Cost)

신규 유료 결제자 1명을 유치하는데 드는 비용으로 광고비/신규유료결제자수로 계산한다. 이때 CPA(Cost per Acquisition)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CPA는 고객이 아닌 것을 획득하는 것으로 등록, 활성화 유저, 무료 체험판 다운로드 등이 포함되며 사용자가 구매형태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무료 뉴스레터에 구독하거나 백서를 다운로드하는 등 형태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CAC는 실제 매출을 창출하는 고객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다루고, CPA는 구매가 아닌 다른 형태의 전환을 다룬다는 것을 명심하고 각각의 공식을 분리하여 이해해야 합니다.

Click(클릭)

광고를 클릭하여 랜딩페이지로 이동한 횟 수(=클릭수) 한명이 두,세번 클릭할 수도 있기 때문에 광고클릭수는 유입자수와 같지 않습니다.

Imps(Impression/노출)

내 광고가 잠재고객에게 몇 번 보여졌는지를 일컬음 (광고가 노출된 횟수)

Reach(도달)

내 광고가 몇 명의 잠재고객에게 보여졌는지를 일컬음 (광고를 본 유저 수)

Frequency(빈도)

한 명에게 평균적으로 광고가 몇 번 보여졌느냐?이다. 빈도가 '1'이면 1명에게 1번의 노출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인데 신규고객에게 보여지는 광고는 빈도수가 '1'에 수렴할수록 좋은 지표이다. 빈도가 늘어날수록 광고피로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노출과 도달의 비교비율 (빈도=노출/도달)

Conversion(전환)

광고주 입장에서 소비자가 했으면 하는 행동 (ex. 회원가입, 콘텐츠조회, Data입력, 구매완료)
ex. ) e커머스 : 메인페이지 → 카테고리페이지 → 상품상세페이지 → 장바구니페이지 → 결제시작페이지 → 구매완료페이지

CTR(Click Through Rate)

노출수 대비 클릭이 몇 번 일어났는지를 일컬음.(=클릭률) 클릭률이 높을수록 좋은 지표이다. (클릭수/노출수100%) ex. 1,000번 노출 >>> 50번 클릭 ⇒ (CTR)50/1000100 = 5%

CVR(Conversion Rate)

각 페이지 유입수 중 몇번의 전환수가 일어났는지를 일컬음(=전환율) (전환수/유입수100%) ex. 2021년 7월 6일 유입자수 1,000명 | 결제시작수 50번 | 구매완료수 10번 이때, 결제시작 전환율은? 50/1,000100 = 5%, 구매완료수 전환율은? 10/1,000*100 = 1%

UV(unique visitor)

페이지로 유입된 user의 수, 한 명의 user가 여러 번 페이지를 방문했어도 1로 카운트 된다.

PV(page view)

유저가 본 페이지 수, 한 명의 user가 여러 번 페이지를 방문하면 방문 횟수만큼 카운트 된다.

DAU(daily action users)

일 별 활성화 user 수, 일일 기준 유입user의 수

MAU(monthly actice users)

월 별 활성화 user 수, 한 달 기준 유입 user의 수
반응형